#도커 이미지 pull
docker pull mysql
#도커 컨테이너 생성 및 실행
docker run --name mysql-container -e MYSQL_ROOT_PASSWORD=0000 -d -p 3307:3306 mysql:latest
#도커 컨테이너 리스트 확인
docker ps
#mysql 도커 컨테이너 접속
docker exec -it mysql-container bash
- p : 도커 설치한 호스트의 3307 포트를 컨테이너의 3306 포트에 연결한다는 의미
이후에 접속을 하면 되는데 , 기본적으로 host 종류는 ‘localhost’ 와 ‘%’ 가 있다.
기본적으로 mysql 을 설치하면 로컬에서만 접속이 가능하고 외부에서는 접속이 불가능한데
이때 데이터 그립에 등록하고 싶으면 root 계정의 외부접속을 허용해야 한다.
mysql -u root -p
use mysql
select host, user from user;
#계정 외부 접속 허용
alter user 'root'@'%' identified with mysql_native_password by '0000'; #비밀번호가 0000
flush privileges
'CS > 서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도커 데이터 보존하기 - Bind Mount/Volume (0) | 2023.05.24 |
---|---|
도커 컨테이너 하드웨어 리소스 제한 관리 - Memory, CPU (0) | 2023.05.23 |
Dockerfile 이용해서 이미지 만들고, 도커 허브에 배포하기 (0) | 2023.05.23 |
AWS - EC2, Elastic Beanstalk, Fargate, ECR, Lambda, ECS (1) | 2023.05.08 |
AWS - VPC, NAT,ELB, S3, CloudFront (0) | 2023.05.08 |